[2019 키플랫폼]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금융산업의 혁신 ‘금융세션’

[머니투데이] 원본 링크 및 사진 출처
다음달 25~26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열리는 머니투데이미디어 글로벌 콘퍼런스 ‘2019 키플랫폼'(K.E.Y. PLATFORM 2019) 금융 세션에선 디지털경제로의 전환이라는 큰 흐름 속에서 숙명적인 변화의 상황에 놓인 금융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이야기한다.
세계 각국에서 모인 전문가들은 미국 등 금융 선진국에서 디지털 기술이 전통적 금융산업을 어떻게 와해시키고 있는지, 또 신흥시장에서는 디지털 기술을 통해 금융 분야에서 어떤 기회가 부상하고 있는지 소개할 예정이다.
(중략)
◇디지털에 의한 금융업의 본질적 변화=금융산업은 가장 앞서 있는 미국에서도 업의 본질적 성격이 바뀌기 시작한 지 오래다. 변화 동력의 중심에는 디지털이 있다.
금융 세션 모더레이터인 이영달 KET(한국기업가정신기술원) 원장은 “디지털 기술과 글로벌화는 상호 공진화 관계를 지니고 있다”며 “특히 금융산업의 기존 질서를 와해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디지털 기술은 기존의 금융 서비스 이용과 접근성에서 기득권을 와해시켜 보다 많은 대중들을 서비스 이용자와 소비자로 참여시켜 글로벌화를 더욱 가속화시키는 촉진자 역할도 맡고 있다”고 했다.
◇디지털을 통한 새로운 기회 모색=디지털 기술은 선진 금융시장에서만 중요한 게 아니다. 오히려 인프라가 미흡한 곳에서는 이를 보완할 수단으로 디지털 기술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실제로 디지털화가 빠르게 일어나는 지역 중 한 곳이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이다.
이 원장은 “아세안은 현재 인구 약 6억5000만명, 중간연령 29.3세로 세계에서 가장 젊고 빠르게 성장하는 경제블록”이라며 “도시 거주 인구가 약 50%에 달하고 모바일 환경이 보편화되는 등 디지털 친화형 사회로 변화하고 있어 이 시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