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T-KCERN] 제 57차 공개포럼 ‘유니콘 비즈니스 모델’

KCERN(창조경제연구회)은 한국기업가정신기술원 KET 이영달 원장님을 패널로 초청하여 5월 28일(화) 오후 2시 ‘유니콘 비즈니스 모델’이라는 주제로 공개포럼을 개최하였습니다.

KCERN, 공개 포럼 `유니콘 경영의 화두` 28일 개최

유니콘 기업 육성을 위한 전략, ‘카피타이거’ 혹은 ‘디지털 이민’

첫 순서로 서울과학종합대학원 MBA 유효상 교수님께서 ‘유니콘기업으로 가는 길’을 주제로, “4차 산업혁명 시대 초고속으로 성장하는 기업들이 유니콘으로, 글로벌 유니콘 411개 중 100개 이상이 카피캣 기업”이라고 강조하며, “카피 타이거 전략으로 글로벌 유니콘 성공 비즈니스 모델을 벤치마킹하여 대한민국의 유니콘 붐을 이끌어내자고 발표하셨습니다.

이어서, 이영달 원장님은 유니콘의 기업가치가 몰린 부분은 모빌리티, 디지털 산업, 미디어 및 커뮤니케이션, 헬스케어, 핀테크 부분 순으로 몰려있다고 언급하셨습니다. 

압축하자면 B2B 보다 B2C 기업의 유니콘 비중이 높음카피캣 모델은 그 자체로의 의미보다 어떤 배후 시장을 뒤에 두고 있느냐가 중요하며, 영어권, 중화권, 인도권, 이슬람권. 빅 4에 유니콘의 90%가 몰려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326개의 기업 회귀 분석을 해보면 인구수가 가장 높은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다고 발언해주셨습니다.

빅4를 제외한 국가의 유니콘 중 8개의 기업이 국적을 바꿨는데 옮겨간 기업들의 이유는 시장, 법제도, 효율성의 문제(생태계의 문제) 였습니다.

또한, “정부는 ‘유니콘 기업 OO개 양성’을 정책 목표로 삼아 개별 기업과 개별 투자자에게 직접적인 지원을 하는 것이 아니라 초고성장 기업이 배출될 수 있는 ‘환경’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에 집중해야 한다”고 정책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셨습니다.

스크린샷 2019-06-03 10.50.08.png

관련 기사 링크: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Twitter picture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Twitter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