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기업에서 확인되는 3Ps

세계적인 혁신기업들의 현장을 쫓고 있다.

‘아마존’에서 부터 기업가치 40조원 이상으로 평가 받는 핀테크 기업 ‘스트라입’ 까지… 이런 세계적 기업들에게서는 3Ps(Perspective-Principle-Practice)가 분명히 그리고 위계적 정합성을 이루며 존재 및 기능화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erspective ]
관점 또는 철학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 회사는 왜 존재하는가? 라는 존재론적 질문에 분명한 답을 지니고 있다. 기업의 ‘사명(mission)’이 분명하게 자리하고 있다는 것이다.

현재 시가총액 약 160조원을 상회하는 ‘세일즈포스’는 임직원이 채용되게 되면 일주일간 합숙 연수를 받게 된다. 이때 행하는 교육은 오직 ‘세일즈포스의 사명선언문’을 내재화 하는 것 이외에는 없다. 한 차원 다른 철학을 담고 있는 ‘조직의 사명’이 구성원들과 공유되면서 조직적으로 강력한 힘을 지니게 된다.

Image result for salesforce staff"

[ Principle ]
조직의 사명은 제반 조직의 경영 및 운영활동의 기준으로 정립될 수 있어야 한다. ‘원칙’이 바로 선 기업 또는 조직을 의미한다. 아마존의 경우 ‘리더십 14원칙’이란 것을 임직원의 채용에서 부터 실제 업무활동에도 그대로 적용을 하고 있다.
모든 활동의 판단 기준이 되는 것이다.

Image result for amazon 14 leadership principles"

[ Practice ]
조직의 사명(perspective)-원칙(principle)은 실행단계에서 그 궤를 항상 유지해야 한다.
법률 체계에서 시행령이 일반법에 우선할 수 없고, 일반법이 기본법에 우선할 수 없는 것과 같은 맥락이며, 동시에 시행령은 일반법의 기준과 범주에 충실할 수 있도록 만들고 시행되어야 한다.

애플의 본사인 ‘애플 파크’의 지하 주차장, 그리고 엘리베이터 심지어 버튼과 엘리베이터 바닥 소재까지 한눈에 보더라도 ‘애플 스럽다’라는 것이 느껴지고 확인되도록 관리되고 있다. 심지어 방문자 센터의 라테커피에서 우유 거품의 모양까지도…

[ Perspective – Principle – Practice ]
이들간의 위계적 정합성이 유지 관리되게 되면, 조직 구성원들의 활동이 명료해진다.

Practice 단계에서 문제가 발생되면, Principle과의 정합성 테스트를 해보면 된다. 그래도 명료한 판단이 힘들다면 Principle이 Perspective를 충실히 충족하고 있는지 정합성 테스트를 해보면 된다. 그래도 문제가 있다면, Perspective 즉, 조직의 철학과 사명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원점에서 부터 새롭게 재 검토가 필요하다.

세계적 기업들의 기업 연차보고서(annual report)와 웹사이트 등을 보면, 이들 기업의 사명과 기업경영 철학을 설명하는데 상당한 분량을 할애하고 있다.

한국의 대다수 기업들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부분이 기업철학과 사명에 관한 영역이다.
세계 일류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조직의 가장 큰 차이점을 보이는 영역이라 할 수 있다.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Twitter picture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Twitter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