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유니콘 클럽’ 기업의 특성 및 기업가치 영향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2019년 ‘유니콘 클럽’ 기업을 중심으로

2020년 12월, 벤처창업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제 15권 6호에 이영달 원장, 오소영 연구원, 윤여은 연구원의 ‘글로벌 유니콘 클럽’ 기업의 특성 및 기업가치 영향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2019년 ‘유니콘 클럽’ 기업을 중심으로 논문이 게재되었습니다. Continue reading ‘글로벌 유니콘 클럽’ 기업의 특성 및 기업가치 영향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2019년 ‘유니콘 클럽’ 기업을 중심으로

상상하라, 그리고 실행하라!

현재 시가총액 상위에 랭크되어 있는 젊은 기업들, 그리고 1백년 이상의 업력을 지닌 장수 기업들…
공통점은 끊임 없이 “미래혁신”을 위한 노력과 투자를 행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들의 혁신활동의 시계는 10년, 20년 뒤에 맞추어져 있다.
단지 효율성을 높이는 ‘생산적 혁신(productive innovation)’이 아닌, 미래의 시점에서 시장과 고객들이 필요로 할(또는 갈망할) 상품이나 서비스를 기획(상상)하고, 이를 현실화 시키기 위해서 현재의 시점에서 무엇을 행해야 하는지의 관점으로 접근하는 “미래혁신방법론(Futurizing™)”에 기초한 ‘창조적 혁신(creative innovation)’을 행하고 있다.
Continue reading 상상하라, 그리고 실행하라!

“상상력 + 퓨처라이징”

10년만에 ‘판’을 바꾸었다! 2020년 6월 22일, ‘테슬라’는 자동차 업계 시가총액 세계 1위 자리에 올랐다.‘테슬라’의 시가총액은 약 225조원으로, 그간 1위 자리를 공고히 했던 ‘도요타’의 약 214조원을 넘어섰다.‘테슬라’는 2010년 1월 나스닥에 기업공개(상장)를 하였으니 10년만에 업계 1위의 자리에 등극을 한 셈이다. ‘애플’의 기업가치(시가총액)는 약 1,878조원($1,547B)으로 전 세계 기업 중 으뜸의 지위에 자리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1,512B)’와 유이한 ‘$1.5T 클럽’ 멤버이다.‘스티브 잡스’의 후임으로 ‘팀 쿡’이 CEO에 오른지(2011년) 10년이 채 걸리지 않은 … Continue reading “상상력 + 퓨처라이징”

파워의 이동: from a Plant to Entrepreneurship

최근 우리 경제와 사회에서 기존 질서가 무너지며 새로운 질서가 만들어지고 있다. 1. Born Digital + 글로벌 컨슈머 우리나라 기업 중 ‘네이버’의 시가총액(약 41조원)은 제조업의 대표격이라 할 수 있는 ‘포스코(약 17조원)’의 2배가 넘고, 2위 기업인 SK 하이닉스(약 62조원)의 약 66% 수준에 이른다.‘카카오’와 ‘현대자동차’의 시가총액은 25조원 내외에서 비슷한 수준으로 날짜에 따라 상대적 우위가 뒤바뀌고 있다. 글로벌로 시각을 넓혀 보면, 비디오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Zoom’이 세계적인 반도체 … Continue reading 파워의 이동: from a Plant to Entrepreneurship

기업의 세계적 영향력(World impact)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인류 역사 상 대륙을 넘어(intercontinental) 전 세계적 지배력을 지니려 했던 제국주의 국가는 현재까지 5개 국가 입니다.포르투칼, 스페인, 프랑스, 영국, 미국… 연대기 그리고 지정학적으로 보면, 포르투칼에서 시작된 “전 세계적 제국주의”가 인접 국가인 스페인-프랑스-영국으로 이어지며 그 영향이 점차 북상 확대 되는 흐름을 볼 수 있습니다. 미국을 제외하고 특히 포르투칼과 스페인의 영향력은 현재 중남미에 걸쳐진 언어적 유산 이외에는 크게 찾아 보기 어려운 상태 입니다. 기본적으로 “제국주의”는 비판의 대상 … Continue reading 기업의 세계적 영향력(World impact)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세계적인 기업에서 확인되는 3Ps

세계적인 혁신기업들의 현장을 쫓고 있다. ‘아마존’에서 부터 기업가치 40조원 이상으로 평가 받는 핀테크 기업 ‘스트라입’ 까지… 이런 세계적 기업들에게서는 3Ps(Perspective-Principle-Practice)가 분명히 그리고 위계적 정합성을 이루며 존재 및 기능화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erspective ]관점 또는 철학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 회사는 왜 존재하는가? 라는 존재론적 질문에 분명한 답을 지니고 있다. 기업의 ‘사명(mission)’이 분명하게 자리하고 있다는 것이다. 현재 시가총액 약 160조원을 상회하는 ‘세일즈포스’는 임직원이 … Continue reading 세계적인 기업에서 확인되는 3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