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의 유효소비시장, 어떻게 만들 것인가!

2가지 상반된 뉴스가 눈에 들어 옵니다. 첫째는 한국의 자동차 부문 1차 협력사들의 폐업/도산/영업적자 등과 관련된 동향을 담은 내용입니다.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19060289481 두번째는 미국의 NASA에서 민간 기업들과 함께 달 탐사 프로젝트를 수행한다는 내용 입니다. https://news.v.daum.net/v/20190603081013992 혁신 경제를 위해 기업 부문과 정부 부문 각각이 지닌 고유의 역할이 있습니다. 기업 부문은 혁신의 주체 입니다. 무엇인가를 새롭게 만들어 내는 “창조적 혁신”, 무엇인가를 더 낫게 만들어 내는 “생산적 혁신”, 모두 기업들이 스스로 풀어가야 … Continue reading 혁신의 유효소비시장, 어떻게 만들 것인가!

“유니콘 기업에 대한 균형적 접근법”

유니콘 기업에 대한 균형적 접근법 “유니콘 기업”은 비 상장기업(스타트업)의 기업가치가 10억불(한화로는 1조원)이라는 상징적 금액을 넘어서기가 쉽지 않다는 측면에서 상상속의 동물 “유니콘”을 빗대어 표현한 사항 입니다.즉, 실제 비 상장 스타트업의 기업가치가 단기간 내 10억불을 넘어서는 것이 매우 희소한 경우라는 의미 입니다. 그런데, 비 상장기업의 기업가치라는 것은 핵심적 투자자 몇이서 서로 그렇게 평가하고 투자약정을 체결하면 곧 기업가치화 되는 구조를 지닌 맹점을 지니고 있습니다.상장기업의 경우, 해당 기업과 관련된 … Continue reading “유니콘 기업에 대한 균형적 접근법”

창업교육의 효과성에 관한 담론

동국대학교 Global MBA 과정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Entrepreneurship & New Venture Creation” 이라는 강좌를 한 학기 동안 운영하였다. 본 강좌의 특성은, 약 20여개국에서 온 26명의 다국적 국제학생으로 이루어진 강좌이다. 이 학생들은 전반부에는 Entrepreneurship에 대한 실제적 이해를 갖는 내용을 중심으로 학습을 하였고, 후반부에는 가상창업 및 모의투자의사결정을 하는 것을 전제로 한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전개하였다. 4차례의 현장 방문 수업을 통해 ‘대기업-스타트업-공공스타트업지원기관-스타트업엑셀러레이터’의 운영 및 제반 특성들에 대해 살펴 보는 … Continue reading 창업교육의 효과성에 관한 담론

[비즈니스모델]들은 왜 실패하는가?

‘비즈니스모델 캔버스’를 만드는 것은, 최근 스타트업 교육이나 제반 행사에서 마치 전가의 보도 처럼 인식되고 있다. 이것이 더 진화되어, 최근에는 ‘린 캔버스’도 자주 활용되는 분위기이다. 수 많은 비즈니스모델들이 만들어지고, 또 교육과정에서 비즈니스모델캔버스를 수없이 많이 만들어 보는데도, 그많은 ‘매력적으로 보였던 비즈니스모델’들은 모두 어디로 갔을까? 비즈니스모델들은 왜 실패하는가? 우리가 비즈니스 모델을 고안할 때 가장 먼저 고민해야 할 사항이, “누구(who)를 대상으로, 어떤 가치(what)를 제안할 것인가?”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 Continue reading [비즈니스모델]들은 왜 실패하는가?

비즈니스의 [퀀텀 점프]는 어떻게 일어날까?

퀀텀점프(Quantum Jump) : 경제학에서는 단기간에 비약적인 성장이나 발전을 할 때 사용하는 말로 ‘압축성장’을 뜻하는 용어. 혁신을 통해 기존 환경의 틀을 깨고 대약진, 대도약하는 창조적 기업을 퀀텀점프로 비유하곤 한다. 원래 퀀텀점프는 대약진, 대도약을 뜻하는 물리학 용어인데, 양자(Quantum·量子)가 어떤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갈 때 조금씩 발전하는 게 아니라 계단을 오르듯 급속도로 뛰어오르는 것을 의미한다. 스포츠에서는 도저히 불가능할 것 같은 목표를 성취했을 때 퀀텀점프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 … Continue reading 비즈니스의 [퀀텀 점프]는 어떻게 일어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