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2년 부터 2016년까지 진행한 전문 교육 프로젝트 현황 입니다.
2017년 이후 현황은 별도 안내 됩니다.
- 기업가정신 교육의 현 주소 및 교육 전문가의 역할과 비전
– YES 리더 교육전문가 역량향상 워크숍(2012.11.) - 대학의 창업교육 ‘Why-How-What’
– 숭의여자대학교 전체 교수 워크숍(2012.12.) - 글로벌기술혁신창업 촉진을 위한 지식경제부의 역할과 기능
– 국민중심의 새로운 성장패러다임 모색 자문회의(2012.12.) - 글로벌기술혁신기업 육성을 위한 SBA의 역할과 기능
– 서울통상산업진흥원 학습 워크숍(2012.12.) - 중소기업 해외진출 어떻게 지원할 것인가?
– KOTRA College(2013.04.) - 창업경영자(Founder-CEOs)의 딜레마
– 신한은행 NEXT-CEO 과정(2013.04.) - 중소기업 경영자 역량개발 방안
– 산업단지공단(2013.04.) - 실패기업인 재도전(재 창업) 지원 프로그램 운영방안
– 서울통상산업진흥원(2013.04.) - 기업의 실패와 턴어라운드
– 중소기업진흥공단 서울지역본부(2013.04.) - 스타트업 위험관리와 창업경영자(Founder-CEOs)의 딜레마
– V포럼(2013.05.) - 기술사업화 투자전략
– LG이노텍 간부교육(2013.06.) - Global Entrepreneurship
– V포럼 & 캠퍼스 CEO 연합 워크숍(2013.06.) - 대학기반 기술창업
– 대한산업공학학회 IE매거진 2013 여름 특집호 특별기고문(2013.06.) - 미국의 기업회생시장 현황과 시사점
– 중소기업청장 주관 정책간담회(2013.07.) - 서울시 창업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SBA의 역할과 기능
– 서울시 산업진흥원(2013.10.) - 재도전 친화적 생태계 구축 방안
– 중소기업청 주관 ‘재도전 컨퍼런스’(2013.10.) - 약국경영전략
– 대한약사회(2013.11.) - 실패가 자산이 되는 사회를 꿈꾼다!
– 정책브리핑 기고문(2013.11.) - 대학의 기업가정신 교육
– 창조경제연구회(2013.12.) - 기업가정신 교육
– 창의, 인성 교육 교사 동계집합연수(2014.01.) - 대학의 기업가정신 교육
– 덕성여대 여성기업가센터 설립기념 세미나(2014.01.) - 벤처 멘토링 방법론
– 벤처1세대 멘토링센터 멘토 스킬업 과정(2014.01.) - 기업가적 방식과 담대한 도전
– 서울시 크리에이브랩 커뮤니티 크리에이터 양성과정(2014.02.) - 전략적 마인드와 기업가정신
– 성신양회㈜ 부서장 교육(2014.03.) - 벤처 멘토링 스킬업 교육
– 벤처 1세대 멘토링센터(2014. 05.) - 기업가정신
– 스마트벤처창업학교(2014.05.) - 창조산업 전략 포럼: 창의교육과 창업, 창작 연계 방안(세션 좌장)
– 한국콘텐츠진흥원(2014.05.) - 기업가정신을 실현한 국내외 인물은?
– KDI 경제교육(2014.07.) 기고문 - 발명교육을 통한 기업가정신 육성 방안
– 발명진흥회(2014.07.) -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기업가정신
–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출연연 책임연구원 교육과정(2014.08.) - 우리나라 재도전 지원정책과 KIAT의 역할
–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4.09.) - 재도전가능 기업생태계 조성을 위한「테크노기업가센터」설립 제언
–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4.11.) - 기업가정신 포럼: 사내기업가 및 벤처 활성화 방안(패널), 벤처 우수인력 확보 방안(패널)
– 창조경제연구회(2014.11) - 창의융합콘서트: 끝날 때 까지는 끝난게 아니다!
–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4.12.) - 중소기업의 파괴적 기술혁신 사례, 이병헌, 이영달
– 기술과 경영(2015.02.) - 창조와 혁신의 용광로
– 정책브리핑 위클리 공감(2015.03.) -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기업가정신
–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연구원 출연연구원 중간보직자 교육과정(2015 연간) - 멘토링 품질 향상 방안
– 벤처1세대 멘토링센터(2015.04.) - Beyond Entrepreneurship: Globalization & Harvest
– 2015 한국벤처창업학회 춘계학술대회 주제발표(2015.05) - 재창업자 교육
– 중소기업진흥공단(2015.06.) - 국가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 발전방안과 교육전문가 양성 방안
– 2015 창업교육 베스트프랙티스포럼(2015.08.) - 재창업자 교육
– 중소기업진흥공단(2015.10.) - 재창업 CEO 교육
– 중소기업진흥공단(2015.11.) - ‘뉴욕에서 창업하기’
– 뉴욕 FIT 학생 대상 특강(2016.01.) - 주요국의 재도전 정책 사례 비교
– 중소기업청 재도전성장과 워크숍(2016.02.) - 서울시 R&D 특구 개발 정책자문(2016.02.)
- 서울시 창업허브 조성 정책 자문(2016.03.)
- 중소기업청-창업진흥원 ‘재도약 성공패키지’ 교육프로그램 교육: KAIST(2016.04.)
- Start + Scale UP, Korea!
– 2016 한국벤처창업학회 춘계학술대회 주제발표(2016.04.) - 2016 스타트업코리아 라운드 테이블(디캠프)
– 주제 발표(2016.07.) - 기업가리더십 총론
– 리더피아(2016년 7월 호) -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팅, 좀 제대로 해보자!
– 대덕넷(2016년 7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