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벌의 굴레]로 부터 탈출하라!

심리학에서 파생된 [핵심자기평가(Core-Self Evaluation)]라는 개념이 있다. 자신을 이해하는 핵심적 4가지 영역과의 상호관계를 설명하는 내용이다.

이 [핵심자기평가]가 높은 사람들의 특성을 보면, 1) 자존감(self-esteem)이 높으며, 2) 일반화된 자기효능감(generalized self-efficacy)이 높고, 3) 통제위치(locus of control)가 자신의 내부(internal)에 있는 정도가 높으며, 4) 감정적 안정감(emotional stability)이 높은 특성을 지니고 있다. 반대의 관계도 성립해서, 자존감, 자기효능감, 내적통제위치, 감정적 안정감이 높으면 핵심자기평가의 수준도 높아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10-5923-j-ijap-20130301-03_002 *Yaakub, Shaari, Panatik , and Rahman(2012), Towards an Understanding of the Effect of Core Self-Evaluations and Knowledge Sharing Behaviour

[핵심자기평가]는 교육학, 사회학, 경영학 등 다양한 영역에서 개인이나 집단의 행동을 설명하는 이론적 토대로 자주 소개되고 있다. Smedema, Cardoso, Chan, Dutta, Muller, Keegan, Ebener, & Yaghmaian 등 다수의 학자가 참여한 [핵심자기평가]와 [삶의 만족]과의 상호관계 연구를 살펴 보니, [핵심자기평가]가 높은 사람은 1) 사회적 공헌 정도가 높고, 2) 인지된 스트레스 정도가 낮으며, 3)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높아, 결론적으로 삶의 만족도가 [핵심자기평가]가 낮은 사람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다는 결과를 실험하였다.

screen-shot-2017-01-03-at-3-18-47-pm

교육학 영역에서도 [핵심자기평가]가 높은 사람이 교육성과도 좋고, 경영학 영역에서도 보면, [핵심자기평가]가 높은 사람들이 직무몰입이나 조직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난다고 한다. 기업을 이끄는 경영자의 경우도 마찬가지 이다.

좀 쉽게 설명을 하자면, 삶에 있어 1) 자신을 사랑하고, 2) 매사에 자신감을 지니는 경우, 학업이나 사회생활 모두를 잘 감당할 수 있고, 사회에 긍정적으로 기여 함으로써, 종국적으로 만족하는 삶을 살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기업가적 삶(an entrepreneurial life)’을 살아가는데도 이 [핵심자기평가]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기업가적 삶’의 핵심은 ‘자기주도적 삶’을 살아가는 것이다. 현재 내가 처한 상황과 형편에 관계 없이 꿈을 꾸고, 그 꿈을 실현하기 위해 과감히 도전하는 것이 바로 ‘기업가적 삶’이다. 즉, ‘후회 없는 삶’을 사는 것이 바로 ‘기업가적 삶’이다.

결국, [핵심자기평가]는 ‘기업가적 삶’과 그 궤를 같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기업가적 삶’을 가지고 학생들이나 기업가분들과 면담을 하다보면, 많은 경우 스스로 우리 사회가 만들어 놓은 ‘인위적 장벽’ 안에 갇혀 있는 모습들을 많이 발견한다.

특히 한국의 청년들과 미래의 삶에 대해 이야기 하다 보면, 우리 사회가 만들어 놓은 인위적 장벽 중 가장 대표적 사례인 [학벌의 굴레]에 많이 묶여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여기에 묶여 있는 사람들의 공통적 특성이 1) 낮은 자존감, 2) 낮은 자신감, 3) 세상에 순응해야 한다는 암묵적 자기동의, 4) 새로운 변화와 도전에 대한 불안감 등이다. 즉, [핵심자기평가]가 상대적으로 낮음을 의미한다. ‘기업가적 삶’과도 거리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고, 종국적으로 ‘삶의 만족도’도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는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한국 사회에서 ‘기업가적 삶’을 살고, 이를 통해 ‘후회 없는 삶’을 살기 위해 가장 먼저 그리고 가장 필수적으로 넘어서야 하는 것이 바로 [학벌의 굴레] 이다.

[우수한 학벌 = 성공적 삶(스스로 만족하는 삶)]이란 등식이 성립되는 그 어떤 과학적 논거도 발견되지 않았음을 분명히 인지할 필요가 있다.

[우수한 학벌 = 높은 연봉]은 매우 제한적 영역에서 증명되고 있지만, [우수한 학벌 = 성공적인 기업가적 삶]을 지지할 그 어떤 과학적 논거도 발견되지 않았다.

영국 버진그룹의 리차드 브랜슨은 대학 근처에도 가보지 않았고, 난독증 등으로 인해 고등학교까지 성적도 별 볼일 없는 ‘문제적 성장기’를 지낸 기업가이다. 이 외에도 세상을 건강하게 바꾸는 ‘체인지 메이커’들 중 상당수는 우리가 흔히 이야기 하는 ‘우수한 학벌의 소유자’들이 아니다.

같은 맥락에서 펜실베니아대의 심리학 교수인 안젤라 덕워스 교수가 강조하는 ‘성공으로 이끄는 과학적으로 검증된 단 하나의 요소’가 있다면 이는 ‘기개(grit)’라는 사실이다. 학벌도, 능력도, 배경도, IQ도, 외모도 아닌, ‘기개’라고 한다. ‘기개’는 사전적으로 ‘씩씩한 기상과 굳은 절개’이다. 한국어 보다, 영어로 이를 이해하는 것이 보다 섬세한 이해가 될 것 같다.

Grit in psychology is a positive, non-cognitive trait based on an individual’s passion for a particular long-term goal or end state, coupled with a powerful motivation to achieve their respective objective. – wikipedia 

Courage, Conscientiousness: Achievement Oriented vs. Dependable, Long-Term Goals and Endurance: Follow Through, Resilience: Optimism, Confidence, and Creativity, Excellence vs. Perfection – Forbes

작금의 한국의 제반 경제 사회 환경 그리고 앞으로 변화 될 흐름을 종합해 보면, 이제 누구나가 다 ‘기업가적 삶’을 지향해야 한다. 이미 영미권 국가에서는 ‘자기고용가능성(self-employability)’을 높여주는 것이 정부나 공교육이 감당해야 할 가장 중요한 역할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위해 앙트레프러너십(entrepreneurship) 교육을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부터 의무화 하고 있다.

‘내 삶을 내 스스로 만들어 가겠다!’라는 생각을 가진 ‘기업가’들에게는 명문대학의 졸업장, 대기업의 타이틀 등은 단지 과정이고 일 부분일 뿐이지, ‘나의 삶’을 결정하는 요소가 아니라는 것을 분명히 인식해주길 기대 한다.

이미 세상은, ‘실력’과 ‘매력’이 ‘학력’과 ‘재력’을 이기는 시대로 변화했다.

‘실력’과 ‘매력’이 ‘학력’과 ‘재력’을 이기는 시대

‘기업가적 삶(현재 처한 형편이나 배경과 관계 없이, 꿈을 꾸고, 꿈을 이루어가는 삶)’을 지향해야 할 우리 보통의 사람들, 사회가 만들어 놓은 인위적 장벽에 스스로를 가두어서는 안된다. 특별히 한국사회가 갖고 있는 고질적인 문제인 [학벌의 굴레]로 부터 탈출해야 한다.

그리고, 자존감, 자기효능감, 감정적 안정감, 내적 통제위치(세상을 나 스스로 변화 시킬 수 있다는 믿음)를 잘 살피고 관리하여, [핵심자기평가]의 수준을 높이고, ‘기업가적 삶’을 통해 ‘후회없는 나의 삶’을 만들어 보자. 그리고 ‘기업가적 삶’을 살아가는 우리들 스스로 서로 격려하며 그런 분위기와 문화를 만들어 보자!

사회가 만든 인위적 장벽에 나 스스로 갇혀 있을 필요는 더 이상 없다. ‘내 가능성의 한계선’을 스스로 만들지 말자!

%e1%84%8b%e1%85%a9%e1%84%89%e1%85%b3%e1%84%8f%e1%85%a111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Twitter picture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Twitter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